안녕하세요, 빅초이입니다. "자동차에 별 관심 없던 내가 과연 자격증을 딸 수 있을까?" 의외로 자동차 정비 기능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걱정을 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개인적으로 3,4번 기능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기능사는 기출문제만 봐도 합격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큰 걱정은 하지 않았는데요.
마음을 편하게 먹어서인지 1달 정도 공부하고, 7월 1일 시험에서 91.66점이라는 높은 점수로 합격했습니다. 요즘은 CBT 시험이라 컴퓨터 앞에서 문제 풀고, 제출하면 바로 합격여부와 점수를 알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학창 시절 공부를 못했던 제가 1달 정도의 공부 기간으로 높은 점수로 합격할 수 있었던 공부 방법에 대해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한 줄로 정리해보자면 'AI를 활용한 효과적인 기출문제 반복 학습'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지금부터 자동차 정비 기능사 뿐만 아니라 기능사 수준의 필기시험을 무난하게 통과할 수 있는 모든 노하우를 공개하겠습니다.
STEP 1. 기본서는 딱 1번, 빠르게 훑어보기
저는 '기분파 2023년 자동차 정비기능사 필기' 도서를 당근에서 5천 원에 구매했습니다. 이 외에도 전기 자동차 정비 인력 양성과정이라는 교육과정에 참여중인데요. 교육과정 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듣는 수업은 강의 전문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느껴, 수업 시간에는 교재로 혼자 공부했습니다.
차에 대한 지식이 전무했기 때문에 모든 용어와 개념이 새로웠습니다.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바로 AI에게 질문하고, 교재 내용과 교차 검증하며 개념을 정립해 나갔습니다.
이해가 안 될 때 AI 활용 Tip: "자동차 엔진의 '흡기-압축-폭발-배기' 4행정 사이클에 대해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를 들어서 설명해 줘."
이렇게 기본 개념서를 1회독 하는 데 약 2주가 걸렸습니다. 완벽하게 이해하려 하기보다는, "이런 내용이 있구나" 정도로 가볍게 훑고 넘어갔던 거 같아요. 여러번 읽어도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거나, 과감하게 넘어갔습니다.
STEP 2. 합격의 핵심, 기출문제 무한 반복 (feat. 맞추다)
개념서 1독 후에는 곧바로 문제 풀이에 돌입했습니다. 교재에 있는 모든 문제를 최소 3번씩 풀었고, 유독 헷갈리거나 암기가 안 되는 문제는 별표를 치고 5번 이상 들여다봤습니다. 이 과정이 약 1주일 정도 걸렸습니다.
그리고 시험 날까지 '맞추다'라는 기출문제 웹사이트/앱을 통해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문제를 반복해서 풀었습니다. '맞추다' 앱의 가장 큰 장점은 내가 틀렸거나 헷갈리는 문제만 모아서 계속해서 다시 풀어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비록 해설이 없는 점은 아쉬웠지만, AI에게 질문하면 대부분의 문제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원리를 설명들을 수 있었습니다.
정리: 개념서 1독 후 → 기출문제 무한 반복 : 실제 시험에서도 과년도 기출문제가 그대로 나오거나 살짝 변형된 문제가 대부분이었습니다. 기출문제와 AI를 활용한 개념 확장만으로도 충분히 70~80점 이상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STEP 3. 당신의 24시간 과외교사, AI 활용법 (제미나이, NotebookLM)
저는 제미나이(Gemini) 유료 버전을 사용했지만, 이 글에서 소개하는 기능 대부분은 무료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합니다.
1) PC에서 활용하기
'맞추다' 웹페이지에서 문제를 풀다가 이해가 안 되면, 즉시 화면을 캡처해 제미나이에게 질문했습니다.
AI 프롬프트 예시 (이미지 첨부 후): "이 문제의 정답과 함께, 각 보기가 왜 맞고 틀렸는지 상세하게 설명해 줘. 특히 '솔레노이드 밸브'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려줘."
80~90%는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설명이 애매하다면, 관련 내용을 다룬 블로그나 유튜브 영상 링크를 제미나이에게 제공하며 다시 질문하면 거의 100% 정확한 해설을 얻을 수 있습니다.
✨ Tip: 몇 시간 공부한 뒤, 제미나이 채팅창 우측의 'canvas 버튼' 을 클릭하시고, 오늘 배운 내용을 요약해서 정리해줘하면 기깔나게 정리해줍니다.그날 배운 내용을 깔끔하게 요약 정리해 주어 복습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2) 모바일에서 활용하기
'맞추다' 앱 화면을 캡처하거나, 문제집을 바로 사진 찍어 질문하면 타이핑 없이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미나이 앱 내 카메라로 촬영하면 셔터음이 들리지 않아 조용한 강의실이나 독서실에서도 눈치 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EP 4. 학습 효율 극대화, NotebookLM 활용법
NotebookLM은 제가 사용해 본 AI 중 학습 효율을 극적으로 끌어올려 준 최고의 도구입니다. PDF 파일, 웹사이트 및 유튜브 링크, 텍스트 등을 소스로 제공하면 나만의 맞춤형 학습 자료를 만들어주는 서비스입니다.
1) 나만의 학습 팟캐스트 만들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자동차 정비와 관련된 방대한 학습 모듈(PDF)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PDF 파일들을 NotebookLM에 소스로 추가하고 '오디오 개요(Audio overview)'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 10분 내외의 고품질 팟캐스트가 생성됩니다. 등하굣길이나 쉬는 시간에 들으며 자연스럽게 개념을 복습할 수 있습니다.
2) 헷갈리는 개념, 마인드맵으로 구조화하기
NCS 자료나, 그동안 헷갈려서 캡처해 두었던 문제 이미지들을 소스로 추가한 뒤, 마인드맵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개념들의 전체적인 구조와 키워드 간의 연결고리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NotebookLM 프롬프트 예시: "제공된 소스들을 바탕으로 '자동차 전기장치'에 대한 핵심 개념을 마인드맵으로 만들어 줘."
마치며
정보처리기능사, 전기기능사 등 여러 기능사 시험을 준비하며 느낀 점은 '기능사' 수준의 시험은 기출문제만으로도 충분히 합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AI라는 강력한 도구로 개념 설명과 요약까지 더한다면, 합격은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다가오는 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으시기를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해설: 안전사고율 중 도수율(빈도율)은 근로 시간 100만 시간당 발생하는 재해 건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사고 건수 / 연근로 시간 수) * 1000000" 이 올바른 표현식입니다.
2. 제3의 브레이크(감속 제동장치)로 틀린 것은?
보기:
엔진 브레이크
배기 브레이크
와전류 브레이크
주차 브레이크
정답: 4번
해설: '제3의 브레이크' 또는 보조 제동장치는 주 브레이크의 마모를 줄이고 감속 성능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엔진 브레이크, 배기 브레이크, 와전류 브레이크 등은 이러한 감속 제동장치에 해당합니다. 반면,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지, 주행 중 감속을 위한 제동장치가 아닙니다.
3. 자동차를 들어 올릴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보기:
잭과 접촉하는 부위에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한다.
센터 맴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잭이 접촉하는 곳에 형철을 넣는다.
차량의 하부에는 캐러터 잭으로 지지하지 않도록 한다.
래터럴 로드나 현가장치는 잭으로 지지한다.
정답: 4번
해설: 자동차를 들어 올릴 때는 차량의 특정 리프팅 지점이나 섀시 프레임 등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해야 합니다. 래터럴 로드나 현가장치(서스펜션)는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부분이 아니므로, 잭으로 이 부분을 지지하는 것은 차량 손상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어 잘못된 행동입니다.
4. 자동차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의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보기:
안전벨트 구분
제동장치 구분
엔진의 종류
자동차 종별
정답: 3번
해설: VIN(차대번호)은 차량의 제조사, 모델, 생산년도, 공장, 차종 등 다양한 고유 정보를 포함합니다. 하지만 **엔진의 종류(구체적인 세부 사양)**는 VIN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정보입니다. (VIN은 엔진 타입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특정 "엔진의 종류"라는 포괄적인 의미에서 제외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5. AC 발전기에서 전류가 발생하는 곳은?
보기:
전기자
스테이터
로터
브러시
정답: 2번
해설: AC 발전기(교류 발전기)는 스테이터(고정자) 코일에서 전류가 유도되어 발생합니다. 로터(회전자)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고, 브러시는 로터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6. 유압식 전자제어 파워스티어링 ECU의 입력 요소가 아닌 것은?
보기:
차속 센서
스로틀포지션 센서
크랭크축 포지션 센서
조향각 센서
정답: 3번
해설: 유압식 전자제어 파워스티어링 ECU는 운전 조건에 따라 적절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하기 위해 차속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조향각 센서 등의 정보를 입력받습니다. 반면 크랭크축 포지션 센서는 주로 엔진 ECU에 입력되어 엔진 회전 속도 및 피스톤 위치를 감지하여 점화/분사 시기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파워스티어링 ECU의 직접적인 입력 요소는 아닙니다.
7. 동력인출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맞는 것은? 동력 인출장치는 농업기계에서 ( )의 구동용으로도 사용되며, 변속기 측면에 설치되어 ( )의 동력을 인출한다.
보기:
작업장치, 주축상
작업장치, 부축상
주행장치, 주축상
주행장치, 부축상
정답: 2번
해설: 동력인출장치(PTO: Power Take-Off)는 주로 농업기계에서 작업장치(예: 경운기, 펌프 등)를 구동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장치는 변속기 측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부축상(보조 축)**으로부터 인출하여 작업 장치에 전달합니다.
8. 크랭크축 메인 저널 베어링 마모를 점검하는 방법은?
보기:
필러 게이지(feeler gauge) 방법
시임(seam) 방법
직각자 방법
플라스틱 게이지(plastic gauge) 방법
정답: 4번
해설: 크랭크축 메인 저널 베어링의 마모도를 점검하여 유막 간극을 측정할 때 주로 플라스틱 게이지(Plastic gauge) 방법이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플라스틱 재질의 가는 실을 베어링 저널 위에 놓고 베어링 캡을 조인 후, 실이 납작해진 정도를 측정하여 간극을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9. 기동전동기 무부하 시험을 할 때 필요없는 것은?
보기:
전류계
저항 시험기
전압계
회전계
정답: 2번
해설: 기동전동기(스타터 모터)의 무부하 시험은 모터가 부하 없이 회전할 때의 성능(전류 소모, 전압, 회전 속도)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류계(전류 측정), 전압계(전압 측정), 회전계(RPM 측정)**가 필요합니다. 저항 시험기는 코일이나 회로의 정적 저항값을 측정하는 도구로, 동적인 무부하 시험에는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10.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변용량 컴프레셔의 장점이 아닌 것은?
보기:
냉방성능 향상
소음진동 향상(감소)
연비 향상
냉매 충진 효율 향상
정답: 4번
해설: 가변용량 컴프레셔는 에어컨 부하에 따라 냉매 토출량을 조절하여 냉방 성능 향상, 불필요한 동력 손실 감소로 인한 연비 향상, 그리고 온-오프 반복 작동이 줄어들어 소음과 진동 감소 등의 장점을 가집니다. 냉매 충진 효율 향상은 컴프레셔의 작동 방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11. 모터나 릴레이 작동 시 라디오에 유기되는 일반적인 고주파 잡음을 억제하는 부품으로 맞는 것은?
보기:
트랜지스터
볼륨
콘덴서
동소기
정답: 3번
해설: 모터나 릴레이 등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전기적 잡음(노이즈)은 주변 회로, 특히 라디오 수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잡음을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콘덴서(커패시터)**가 사용됩니다. 콘덴서는 고주파 노이즈를 접지로 우회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12. 자동변속기에서 스톨테스트의 요령 중 틀린 것은?
보기: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근 후 풋 브레이크를 밟고 전진기어를 넣고 실시한다.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근 후 풋 브레이크를 밟고 후진기어를 넣고 실시한다.
바퀴에 추가로 버팀목을 넣고 실시한다.
풋 브레이크는 놓고 사이드 브레이크만 당기고 실시한다.
정답: 4번
해설: 스톨 테스트는 엔진과 변속기의 최대 부하 상태를 점검하는 중요한 시험입니다. 이 테스트는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사이드 브레이크와 풋 브레이크를 모두 강하게 밟은 상태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바퀴에 추가로 버팀목을 대는 것도 안전을 위해 권장됩니다. 풋 브레이크를 놓는 것은 위험하며, 충분한 제동력을 확보하지 못하므로 잘못된 방법입니다.
13. 전동식 냉각팬의 장점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보기:
서행 또는 정차 시 냉각성능 향상
정상온도 도달시간 단축
기관 최고출력 향상
작동온도가 항상 균일하게 유지
정답: 3번
해설: 전동식 냉각팬은 엔진 회전수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작동하여 서행/정차 시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고, 엔진의 정상 작동 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하며, 전반적인 작동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는 엔진 효율 및 수명 연장에는 도움이 되지만, 기관 최고출력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은 주된 장점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전동팬은 엔진의 동력을 직접 사용하지 않으므로 기계식 팬보다 엔진의 부하를 덜어주어 출력을 확보하는 데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나, 최고출력 '향상' 자체가 주 목적은 아닙니다.
14. 디젤 승용차의 기동장치 회로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보기:
축전지
기동전동기
밸러스트 저항
예열 시동스위치
정답: 3번
해설: 디젤 승용차의 기동장치 회로에는 엔진 시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배터리), 시동 모터인 기동전동기, 그리고 디젤 엔진의 저온 시동을 돕는 예열(글로우 플러그) 시스템과 그 스위치가 포함됩니다. 밸러스트 저항은 주로 구형 가솔린 차량의 점화 코일 전류 제어에 사용되었던 부품으로, 디젤 차량의 기동장치 회로 구성요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15. 브레이크 장치에서 급제동 시 마스터 실린더에 발생된 유압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휠 실린더 쪽으로 전달되는 유압상승을 제어하여 차량의 쏠림을 방지하는 장치는?
보기:
하이드로릭 유니트(hydraulic unit)
리미팅 밸브(limiting valve)
스피드 센서(speed sensor)
솔레노이트 밸브(solenoid valve)
정답: 2번
해설: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급제동 시 뒷바퀴의 조기 잠김을 방지하고 제동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스터 실린더에서 뒷바퀴 휠 실린더로 전달되는 유압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제한하는 장치가 사용됩니다. 이 장치는 **리미팅 밸브(limiting valve) 또는 프로포셔닝 밸브(proportioning valve)**라고 불립니다.
16. 전자제어 조향장치의 ECU 입력 요소로 틀린 것은?
보기:
스로틀 위치 센서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전류 센서
정답: 4번
해설: 전자제어 조향장치(EPS)의 ECU는 차량의 운전 상태와 운전자의 조향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스로틀 위치 센서(엔진 부하), 차속 센서(주행 속도), 조향각 센서(운전자 조향 입력) 등의 정보를 입력받습니다. 전류 센서는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ECU의 입력 신호보다는 출력 제어 또는 모니터링과 관련이 깊어 직접적인 입력 요소로 보기 어렵습니다.
17.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와 관계가 없는 센서는?
보기:
일사 센서
차속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조향각 센서
정답: 1번
해설: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는 차량 속도, 엔진 부하(스로틀 포지션), 운전자의 조향 의도(조향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적의 조향 보조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차속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조향각 센서는 관련 있는 센서입니다. 반면, 일사 센서는 주로 자동 에어컨 시스템에서 햇빛의 강도를 감지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동력 조향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18. R-134a 냉매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보기:
액화 및 증발되지 않아 오존층이 보호된다.
무색, 무취, 무미하다.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내열성이 좋다.
온난화 계수가 구냉매보다 낮다.
정답: 1번
해설: R-134a는 불소화합물(HFC) 계열의 냉매로, 염소를 포함하지 않아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냉매의 작동 원리상 냉매는 냉방 사이클 내에서 액화와 증발 과정을 반복하며 열을 흡수하고 방출합니다. 따라서 "액화 및 증발되지 않아 오존층이 보호된다"는 설명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19. LPI엔진에서 연료의 부탄과 프로판의 조성비를 결정하는 입력요소로 맞는 것은?
보기:
크랭크각 센서, 캠각 센서
연료온도 센서, 연료압력 센서
공기유량 센서, 흡기온도 센서
산소 센서, 냉각수온 센서
정답: 2번
해설: LPI(Liquid Petroleum Injection) 엔진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LPG는 부탄과 프로판의 혼합물이며, 이들의 조성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엔진 ECU는 연료 온도 센서와 연료 압력 센서를 통해 실제 연료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분사량 및 시기를 제어하여 최적의 연소를 유도합니다.
20. 진공식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보기:
압축공기를 이용한다.
흡기 다기관의 부압을 이용한다.
기관의 진공과 대기압을 이용한다.
배력장치가 고장나면 일반적인 유압 제동 장치로 작동된다.
정답: 1번
해설: 진공식 브레이크 배력장치(브레이크 부스터)는 엔진의 흡기 다기관에서 발생하는 진공(부압)과 대기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력을 증대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압축공기를 이용한다"는 설명은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해당하므로 잘못된 것입니다. 배력장치가 고장나도 기본적인 유압 제동 기능은 유지되지만, 페달 밟는 힘이 훨씬 더 많이 필요합니다.
21. 흡기관 내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흡입공기량을 간접으로 검측하는 방식은?
보기:
K-jetronic
D-jetronic
L-jetronic
LH-jetronic
정답: 2번
해설: 흡입 공기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 중 흡기관 내 압력(매니폴드 압력) 변화를 이용하는 것은 D-Jetronic 방식입니다. D는 독일어 Druck(압력)에서 유래했으며, MAP 센서(매니폴드 절대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흡입 공기량을 추정합니다. L-Jetronic과 LH-Jetronic은 공기량(질량)을 직접 측정하는 방식(MAF 센서)을 사용합니다.
22. 브레이크 장치에서 슈 리턴 스프링의 작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보기:
오일이 휠실린더에서 마스터 실린더로 되돌아가게 한다.
슈와 드럼간의 간극을 유지해 준다.
페달력을 보강해 준다.
슈의 위치를 확보한다.
정답: 3번
해설: 브레이크 슈 리턴 스프링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었을 때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서 멀어지게 하여 슈와 드럼 간의 적절한 간극을 유지하고, 슈의 위치를 정확하게 복귀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페달력을 보강해 주는 것은 브레이크 부스터(배력장치)의 기능이며, 리턴 스프링의 역할이 아닙니다.
23. 자동차 앞 차륜 독립현가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보기:
트레일링 암 형식(trailing arm type)
위시본 형식(wishbone type)
맥퍼슨 형식(macpherson type)
SLA 형식(Short long arm type)
정답: 1번
해설: 독립 현가장치는 좌우 바퀴가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을 하는 방식입니다. 앞 차륜 독립 현가장치의 일반적인 종류로는 위시본 형식, 맥퍼슨 형식, SLA(Short-Long Arm) 형식 등이 있습니다. 트레일링 암(trailing arm) 형식은 주로 독립 현가 방식의 뒷바퀴에 사용되는 구조이며, 앞바퀴에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24. 전차륜 정렬에 관계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보기:
타이어의 이상마모를 방지한다.
정지상태에서 조향력을 가볍게 한다.
조향핸들의 복원성을 준다.
조향방향의 안정성을 준다.
정답: 2번
해설: 전차륜 정렬(휠 얼라인먼트)은 타이어의 이상 마모를 방지하고, 조향 핸들의 복원성을 제공하며, 조향 방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정지 상태에서 조향력을 가볍게 하는 것은 주로 파워 스티어링(동력 조향) 장치의 역할이며, 휠 얼라인먼트의 직접적인 목적은 아닙니다.
25. 전동식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에서 토크 센서의 역할은?
보기:
차속에 따라 최적의 조향력을 실현하기 위한 기준 신호로 사용된다.
조향휠을 돌릴때 조향력을 연산할 수 있도록 기본 신호를 컨트롤 유닛에 보낸다.
모터 작동 시 발생되는 부하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신호로 사용된다.
모터 내의 로터 위치를 검출하여 모터 출력의 위상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답: 2번
해설: 전동식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EPS)에서 토크 센서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돌릴 때 가하는 힘(토크)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합니다. 이 신호는 컨트롤 유닛(ECU)으로 전송되어, ECU가 운전자의 조향 의도와 주행 조건(차속 등)을 바탕으로 모터가 제공해야 할 적절한 보조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입력 신호가 됩니다.
26. 클러치 디스크의 런아웃이 클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보기:
클러치의 단속이 불량해진다.
클러치 페달의 유격에 변화가 생긴다.
주행 중 소리가 난다.
클러치 스프링이 파손된다.
정답: 1번
해설: 클러치 디스크의 런아웃(runout, 흔들림이나 휨)이 크다는 것은 디스크가 회전할 때 평면상에서 흔들린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클러치 디스크와 플라이휠 및 압력판 사이의 접촉이 고르지 못하게 되어 클러치의 동력 전달 및 차단(단속)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유발합니다. 이는 클러치 떨림(shudder)이나 불완전한 연결/분리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7.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보기:
비 오는 날 빗길 주행 시 공기압을 15% 정도 낮춘다.
좌, 우 바퀴의 공기압이 차이 날 경우 제동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모래길 등 자동차 바퀴가 빠질 우려가 있을 때는 공기압을 15% 정도 높인다.
공기압이 높으면 트레드 양단이 마모된다.
정답: 2번
해설: 좌우 바퀴의 타이어 공기압이 다르면 제동 시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제동 편차)이 발생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비 오는 날 공기압을 낮추는 것은 수막 현상 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사항은 아니며, 모래길에서는 접지 면적 확대를 위해 공기압을 낮추는 것이 유리합니다. 공기압이 높으면 타이어 트레드의 중앙 부분이 과도하게 마모됩니다.
28.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 장치에 사용되는 연료 압력조절기에서 인젝터의 연료 분사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것과 직접 관계되는 것은?
보기:
엔진의 회전속도
흡기기관 진공도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
실린더내의 압축압력
정답: 2번
해설: 가솔린 엔진의 연료 압력 조절기는 인젝터가 항상 일정한 연료 분사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흡기 매니폴드의 진공도(부압)**를 기준으로 연료 압력을 조절합니다. 매니폴드 압력이 변함에 따라 인젝터 앞뒤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ECU가 제어하는 분사 시간에 따라 정확한 연료량이 분사되도록 합니다.
29. 일반적으로 기관의 회전력이 가장 클 때는?
보기:
어디서나 같다
저속
고속
중속
정답: 4번
해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최대 회전력(토크)**은 엔진의 중속 회전 영역에서 발생합니다. 저속에서는 아직 폭발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고속에서는 마찰 손실 및 흡배기 효율 저하 등으로 인해 토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30. 4륜 조향장치(4WS)의 적용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보기:
저속에서 선회할 때 최소 회전 반경이 증가한다.
차로 변경이 쉽다.
주차 및 일렬주차가 편리하다.
고속 직진 성능이 향상된다.
정답: 1번
해설: 4륜 조향장치(4WS)는 저속에서 뒷바퀴를 앞바퀴와 반대 방향으로 조향하여 최소 회전 반경을 감소시킵니다. 이는 주차나 좁은 공간에서의 선회를 용이하게 합니다. 고속에서는 뒷바퀴를 앞바퀴와 같은 방향으로 조향하여 차선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직진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저속에서 선회할 때 최소 회전 반경이 증가한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31. 요철이 있는 노면을 주행할 경우,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는 충격을 무엇이라 하는가?
보기:
시미 현상
웨이브 현상
스카이 훅 현상
킥백 현상
정답: 4번
해설: 요철이 있는 노면을 주행할 때 바퀴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조향 장치를 통해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어 운전자의 손에 느껴지는 현상을 킥백(kickback) 현상이라고 합니다. 시미 현상은 바퀴의 좌우 흔들림, 스카이 훅은 전자제어 서스펜션의 제어 로직을 의미합니다.
32. 에어백 장치를 점검, 정비할 때 안전하지 못한 행동은?
보기:
조향 휠을 탈거할 때 에어백 모듈 인플레이터 단자는 반드시 분리한다.
조향 휠을 장착할 때 클럭 스프링의 중립 위치를 확인한다.
에어백 장치는 축전지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시간 지난 후 정비한다.
인플레이터의 저항은 절대 측정하지 않는다.
정답: 4번
해설: 에어백 시스템 정비 시에는 안전을 위해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점화 장치)의 저항을 멀티미터 등으로 직접 측정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이는 낮은 전류에도 에어백이 오작동하여 폭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대 측정해서는 안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안전 수칙에 해당합니다.
33. SPI(Single Point Injection)방식의 연료분사 장치에서 인젝터가 설치되는 가장 적절한 위치는?
보기:
흡입 밸브의 앞쪽
연소실 중앙
서지탱크
스로틀밸브(Throttle Valve) 전(前)
정답: 4번
해설: SPI(Single Point Injection) 방식은 하나의 인젝터가 스로틀 바디에 설치되어 모든 실린더로 공통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인젝터는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 바로 앞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MPI(Multi-Point Injection)나 GDI(Gasoline Direct Injection)와는 다른 특징입니다.
34. 기관의 실린더 직경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측정 기기는?
보기:
간극 게이지
버니어캘리퍼스
다이얼 게이지
내측용 마이크로미터
정답: 4번
해설: 기관의 실린더 직경(보어)과 같은 정밀한 내부 치수를 측정할 때는 내측용 마이크로미터가 가장 적합한 측정 기기입니다. 버니어 캘리퍼스는 일반적인 치수 측정에 사용되지만 정밀도가 마이크로미터보다 떨어집니다.
35.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롤(roll)제어를 할 때 가장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은?
보기:
차속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차속 센서, 인히비터 스위치
차속 센서, 조향 휠 센서
차속 센서, 스로틀포지션 센서
정답: 3번
해설: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차량의 롤(좌우 흔들림)을 제어할 때는 차량의 코너링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차속 센서(차량의 속도)와 조향 휠 센서(운전자의 조향 각도)**의 정보가 가장 직접적으로 필요하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시스템이 서스펜션의 댐핑력 등을 조절하여 롤을 억제합니다.
36. 감광식 룸램프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보기:
도어를 연 후 닫을 때 실내등이 즉시 소등되지 않고 서서히 소등될 수 있도록 한다.
시동 및 출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입력요소는 모든 도어 스위치이다.
모든 신호는 엔진 ECU로 입력된다.
정답: 4번
해설: 감광식 룸램프(실내등) 제어는 문이 닫힌 후에도 실내등이 서서히 꺼지거나, 시동 전에 일정 시간 켜져 있다가 꺼지는 등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기능입니다. 이러한 기능은 주로 **바디 컨트롤 모듈(BCM)**이나 전장 시스템의 통합 제어 유닛에서 이루어지며, 도어 스위치나 조도 센서 등이 입력 요소가 됩니다. 모든 신호가 엔진 ECU로 입력된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37. 공기공구 사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보기:
공구 교체 시에는 반드시 밸브를 꼭 잠그고 해야 한다.
활동 부분은 항상 윤활유 또는 그리스를 급유한다.
사용 시에는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공기공구를 사용할 때는 밸브를 빠르게 열고 닫는다.
정답: 4번
해설: 공기 공구(에어 툴)를 사용할 때는 안전을 위해 여러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공구 교체 시에는 에어 밸브를 잠그고, 움직이는 부분은 주기적으로 윤활하며, 항상 보호 장비(보안경, 장갑 등)를 착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공기 밸브를 빠르게 열고 닫는 것은 급격한 압력 변화를 일으켜 공구 손상이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천천히 조작해야 합니다. 따라서 "공기공구를 사용할 때는 밸브를 빠르게 열고 닫는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38. 산소용접에서 안전한 작업수칙으로 옳은 것은?
보기:
기름이 묻은 복장으로 작업한다.
산소밸브를 먼저 연다.
아세틸렌밸브를 먼저 연다.
역화하였을 때는 아세틸렌밸브를 빨리 잠근다.
정답: 3번
해설: 산소-아세틸렌 용접 시 토치에 불을 붙일 때의 올바른 순서는 아세틸렌 밸브를 먼저 약간 열어 불을 붙인 후, 산소 밸브를 천천히 열어 원하는 불꽃을 만드는 것입니다. 기름이 묻은 복장은 화재 위험이 있어 피해야 하며, 역화 시에는 산소 밸브를 먼저 닫고 아세틸렌 밸브를 닫는 것이 일반적인 안전 수칙입니다.
39. 추진축에서 진동이 생기는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보기:
요크 방향이 다르다.
밸런스 웨이트가 떨어졌다.
중간 베어링이 마모되었다.
중공축을 사용하였다.
정답: 4번
해설: 추진축(프로펠러 샤프트)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밸런스 불균형(밸런스 웨이트 탈락),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 방향 불일치(위상차), 중간 베어링의 마모 등이 있습니다. 반면, 중공축(속이 빈 축)을 사용하는 것 자체는 진동의 원인이 아닙니다. 중공축은 무게를 줄이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 방식으로, 오히려 특정 조건에서는 진동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원인은 "중공축을 사용하였다"입니다.
40. 자동변속기에서 차속센서와 함께 연산하여 변속시기를 결정하는 주요 입력신호는?
보기:
캠축 포지션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유온 센서
수온 센서
정답: 2번
해설: 자동변속기의 변속 시기는 주로 **차량 속도(차속 센서)와 운전자가 요구하는 엔진 부하(스로틀 포지션 센서)**를 바탕으로 결정됩니다. 스로틀 포지션 센서는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정도를 감지하여 변속기 ECU가 적절한 기어 변속 시점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1. 유압식 동력조향장치에서 사용되는 오일펌프 종류가 아닌 것은?
보기:
베인 펌프
로터리 펌프
슬리퍼 펌프
벤딕스 기어 펌프
정답: 4번
해설: 유압식 동력조향장치에서는 오일의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유압 펌프가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베인 펌프, 로터리 펌프, 슬리퍼 펌프 등이 사용됩니다. 벤딕스 기어 펌프는 일반적으로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사용되는 펌프 종류가 아닙니다. 벤딕스(Bendix)는 주로 스타터 모터의 기어 메커니즘이나 브레이크 시스템과 관련된 브랜드명입니다.
42. 자동변속기에서 토크컨버터 내부의 미끌림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작동기구는?
보기:
댐퍼 클러치
다판 클러치
일방향 클러치
롤러 클러치
정답: 1번
해설: 토크 컨버터는 유체 역학적 결합으로 인해 일정 수준의 미끄럼(슬립)이 발생하며, 이는 에너지 손실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손실을 최소화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특정 주행 조건(예: 정속 주행)에서 토크 컨버터의 전후 동력을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해주는 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를 **록업 클러치(lock-up clutch) 또는 댐퍼 클러치(damper clutch)**라고 합니다.
43. ECU에 입력되는 스위치 신호라인에서 OFF 상태의 전압이 5V로 측정되었을 때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기:
스위치의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ECU 내부의 인터페이스는 소스(Source) 방식이다.
ECU 내부의 인터페이스는 싱크(Sink) 방식이다.
스위치를 닫았을 때 2.5V 이하이면 정상적으로 신호처리를 한다.
정답: 2번
해설: 스위치가 OFF 상태(개방)일 때 신호선에 5V가 측정된다는 것은, ECU가 해당 신호선에 5V의 전압을 공급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스위치를 ON 상태(닫았을 때)로 만들면 이 5V가 접지로 연결되어 0V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ECU가 전압을 **'소스(Source)'**하는 방식 또는 풀업(Pull-up) 방식이라고 합니다.
44. 디젤기관의 분사노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기:
분사개시 압력이 낮으면 연소실 내에 카아본 퇴적이 생기기 쉽다.
직접 분사식의 분사개시 압력은 일반적으로 100 ~ 120kgf/cm²이다.
연료 공급펌프의 송유압력이 저하하면 연료 분사압력이 저하한다.
분사개시 압력이 높으면 노즐의 후적이 생기기 쉽다.
정답: 4번
해설: 디젤 엔진의 분사 노즐은 연료의 분사 압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분사개시 압력이 너무 높으면 연료가 미세하게 분사된 후에도 잔류 압력으로 인해 노즐 끝에 연료가 방울져 남는 후적(after-injection)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는 불완전 연소를 유발하고 배기가스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참고: 일반적인 디젤 직접 분사식의 분사 개시 압력은 훨씬 높으며 (수백~수천 kgf/cm²), 분사 압력이 낮으면 불완전 연소로 인한 카본 퇴적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5. 공기 브레이크의 구성 부품이 아닌 것은?
보기:
공기 압축기
브레이크 챔버
브레이크 휠 실린더
퀵 릴리스 밸브
정답: 3번
해설: 공기 브레이크 시스템은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로는 공기 압축기, 브레이크 챔버(공기압을 기계적 힘으로 전환), 퀵 릴리스 밸브 등이 있습니다. 반면, 브레이크 휠 실린더는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유압을 받아 브레이크 슈나 패드를 작동시키는 부품입니다.
46. 자동변속기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라인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밸브는?
보기:
체크 밸브
거버너 밸브
매뉴얼 밸브
레귤레이터 밸브
정답: 4번
해설: 자동변속기에서 오일 펌프가 생성하는 유압(라인 압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밸브는 레귤레이터 밸브(Regulator Valve) 또는 주압 조절 밸브입니다. 이 밸브는 유압 시스템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47. 구동바퀴가 자동차를 미는 힘을 구동력이라 하며 이때 구동력의 단위는?
보기:
kgf
kgf·m
ps
kgf·m/s
정답: 1번
해설: 구동력은 바퀴가 노면을 밀어 차량을 움직이게 하는 힘입니다. 힘의 단위는 국제표준단위(SI)로는 뉴턴(N)이지만, 여기서는 중력 단위계인 **kgf(킬로그램힘)**가 적절한 단위로 제시되었습니다. kgf·m은 토크나 일의 단위, ps는 일률(마력)의 단위, kgf·m/s는 일률의 단위입니다.
48.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입력신호가 아닌 것은?
보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감쇠력 모드 전환 스위치
대기압 센서
정답: 4번
해설: 전자제어 현가장치(ECS)는 운전 상황에 따라 서스펜션의 감쇠력이나 차고를 조절합니다. 이를 위해 스로틀 포지션 센서(가속/감속 여부), 브레이크 스위치(제동 여부), 감쇠력 모드 전환 스위치(운전자 선택) 등의 신호가 입력됩니다. 반면 대기압 센서는 주로 엔진 ECU에서 공기 밀도 보정 및 연료 제어에 사용되며, 현가장치 ECU의 직접적인 입력 신호는 아닙니다.
49.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에서 ECU로부터 신호를 받아 각 휠 실린더의 유압을 조절하는 구성품은?
보기:
유압 모듈레이터
휠 스피드 센서
프로포셔닝 밸브
벤트 룸 장치
정답: 1번
해설: ABS(잠김 방지 제동 시스템)에서 ECU는 휠 스피드 센서로부터 각 바퀴의 회전 속도 정보를 받아 바퀴 잠김을 예측합니다. 잠김이 예상될 경우, ECU는 **유압 모듈레이터(Hydraulic Modulator) 또는 유압 제어 유닛(HCU)**으로 신호를 보내어 각 휠 실린더로 전달되는 브레이크 유압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합니다.
50. 커먼레일 디젤엔진 차량의 계기판에서 경고등 및 지시등의 종류가 아닌 것은?
보기:
예열플러그 작동지시등
DPF 경고등
연료수분 감지 경고등
연료 차단지시등
정답: 4번
해설: 커먼레일 디젤 엔진 차량의 계기판에는 예열플러그 작동 지시등, DPF(디젤 미립자 필터) 경고등, 연료 수분 감지 경고등 등 디젤 엔진 특유의 경고등들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연료 차단 지시등'**은 일반적으로 계기판에 표시되는 경고등이나 지시등의 종류가 아닙니다. 연료 차단은 엔진 작동의 한 과정(예: 감속 시 연료 차단, 시동 끔)이므로, 별도의 지시등으로 운전자에게 알릴 필요가 적습니다.
51. 오버런닝 클러치 형식의 기동 전동기에서 기관이 시동된 후에도 계속해서 키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보기:
기동전동기의 전기자가 타기 시작하여 소손된다.
기동 전동기의 전기자는 무부하 상태로 공회전한다.
기동전동기의 전기자가 정지된다.
기동 전동기의 전기자가 기관 회전보다 고속회전한다.
정답: 2번
해설: 오버런닝 클러치(Overrunning Clutch)는 엔진이 시동되어 엔진 회전 속도가 스타터 모터의 회전 속도보다 높아지면, 스타터 모터와 엔진 플라이휠 간의 동력 전달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시동 후에도 키 스위치를 계속 작동시키더라도, 기동 전동기(스타터 모터)의 전기자는 엔진과 분리되어 무부하 상태로 공회전하게 되므로, 손상되지 않습니다.
52. 자동차에서 배터리의 역할이 아닌 것은?
보기:
기동장치의 전기적 부하를 담당한다.
캐니스터를 작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한다.
컴퓨터(ECU)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한다.
주행상태에 따른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와의 불균형을 조정한다.
정답: 2번
해설: 자동차 배터리의 주요 역할은 엔진 시동 시 기동장치에 대전류를 공급하고, 엔진 정지 시 또는 저속 주행 시 각종 전기 장치 및 ECU에 전원을 공급하며, 발전기(알터네이터)의 출력과 전기 부하 사이의 불균형을 보정하여 전압을 안정화하는 것입니다. 캐니스터(증발가스 제어 장치) 자체는 주로 흡기 매니폴드 진공에 의해 퍼지(purge)되며, 배터리가 직접적으로 대량의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는 장치는 아닙니다. 캐니스터의 일부 제어 밸브는 전기로 작동하지만, 이는 차량 전체의 전장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며, 배터리의 핵심적인 역할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53. 계기판의 주차 브레이크등이 점등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
보기: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져 있을 때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
브레이크 페이드 현상이 발생했을 때
EBD 시스템에 결함이 발생했을 때
정답: 3번
해설: 계기판의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또는 통합 브레이크 경고등)은 주차 브레이크가 체결되었을 때,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 또는 ABS/EBD(전자식 제동력 분배)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점등됩니다. **브레이크 페이드 현상(과열로 인한 제동력 저하)**은 운전자가 제동 성능 저하로 느끼는 물리적 현상이지, 특정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조건은 아닙니다.
54. 작업 현장의 안전표시 색채에서 재해나 상해가 발생하는 장소의 위험 표시로 사용되는 색채는?
보기:
녹색
파랑색
주황색
보라색
정답: 3번
해설: 산업 현장의 안전 색채는 위험의 종류나 지시 사항에 따라 정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황색은 위험이나 경고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특히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이나 잠재적 위험이 있는 장소에 사용됩니다. (빨간색은 정지, 위험, 소방을 의미하고, 노란색은 주의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녹색은 안전, 파란색은 의무 지시를 나타냅니다.)
55.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TPMS)의 점검, 정비 시 잘못 된 것은?
보기:
타이어 압력센서는 공기 주입 밸브와 일체로 되어 있다.
타이어 압력센서 장착 휠은 일반 휠과 다르다.
타이어 분리 시 타이어 압력센서가 파손되지 않게 한다.
타이어 압력센서용 배터리 수명은 영구적이다.
정답: 4번
해설: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센서는 타이어 공기압을 측정하고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대부분의 TPMS 센서는 공기 주입 밸브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센서가 장착되는 휠은 일반 휠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타이어를 탈착할 때는 센서가 손상되지 않도록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TPMS 센서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는 영구적이지 않으며, 수명이 다하면 센서 전체를 교체해야 합니다. 따라서 "타이어 압력센서용 배터리 수명은 영구적이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56. 기동 전동기가 정상 회전하지만 엔진이 시동되지 않는 원인과 관련이 있는 사항은?
보기:
밸브 타이밍이 맞지 않을 때
조향 핸들 유격이 맞지 않을 때
현가장치에 문제가 있을 때
산소 센서의 작동이 불량일 때
정답: 1번
해설: 기동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회전하여 엔진을 돌리는데도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이는 엔진 자체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점화, 연료, 압축이라는 시동의 3요소 중 하나 이상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밸브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흡입, 압축, 폭발, 배기 행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엔진의 압축이 형성되지 않거나 혼합기가 제대로 연소되지 않아 시동이 불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습니다.
57.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기:
블로바이(blow by)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시스템이다.
고부하 때에는 블로바이 가스가 공기 청정기에서 헤드커버 내로 공기가 도입됩니다.
흡기 다기관이 부압일 때는 크랭크케이스에서 헤드커버를 통해 공기 청정기로 유입된다.
헤드커버 안의 블로바이 가스는 부하와 관계없이 서지탱크로 흡입되어 연소된다.
정답: 4번
해설: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시스템은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로 새어 나가는 블로바이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흡기 매니폴드(서지 탱크)로 다시 유입시켜 엔진에서 재연소하도록 하는 친환경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유해 가스 배출을 줄입니다. 블로바이 가스의 유입량은 엔진 부하에 따라 PCV 밸브에 의해 조절되지만, 궁극적으로는 부하와 관계없이 재연소되는 것이 시스템의 목적입니다. (※ 참고: 보기에 "부하와 관계없이"라는 표현이 완벽하게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나, 다른 보기들의 내용이 명백히 잘못되었으므로 이 보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PCV 시스템은 부하에 따라 블로바이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를 가집니다.)
58. 디젤기관에서 연료 분사펌프의 거버너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보기:
분사압력을 조정한다.
분사시기를 조정한다.
착화시기를 조정한다.
분사량을 조정한다.
정답: 4번
해설: 디젤 기관에서 연료 분사 펌프의 **거버너(Governor)**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운전자가 요구하는 부하에 맞춰 연료의 분사량(Quantity of Injection)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엔진의 과속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아이들링을 유지하며, 가속 페달 조작에 따른 출력 변화를 제어합니다.
59. 디젤 노크와 관련이 없는 것은?
보기:
연료 분사량
연료 분사시기
흡기 온도
엔진오일 양
정답: 4번
해설: 디젤 노크는 연료의 자기 착화 지연 시간이 길어져 연소실 내에 축적된 연료가 한꺼번에 폭발적으로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주로 연료의 분사량, 분사 시기, 흡기 온도, 압축 압력 등 연소 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엔진 오일의 양은 엔진의 윤활 상태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디젤 연료의 연소 과정이나 노크 현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60. 전자제어 현가장치(E.C.S) 입력신호가 아닌 것은?
보기:
휠 스피드 센서
차고 센서
조향휠 각속도 센서
차속 센서
정답: 3번
해설: 전자제어 현가장치(ECS)는 주행 조건에 따라 서스펜션의 특성을 능동적으로 제어합니다. 이를 위해 휠 스피드 센서, 차고 센서, 차속 센서 등이 주요 입력 신호로 사용됩니다. 반면 **조향휠 각속도 센서(스티어링 휠의 회전 속도)**는 주로 전자제어 스티어링 시스템이나 자세 제어 장치에 사용되며, ECS의 직접적인 입력 신호로는 보기 어렵습니다. (참고: 조향 각 센서는 ECS에 사용될 수 있지만, 각속도는 구체적인 시스템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여기서는 아닌 것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61. 자동변속기 유압시험 시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보기:
오일온도가 규정온도에 도달되었을 때 실시한다.
유압시험은 냉간, 중간, 열간 등 온도를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한다.
측정하는 항목에 따라 유압이 클 수 있으므로 유압계 선택에 주의한다.
규정 오일을 사용하고, 오일 양을 정확히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정답: 2번
해설: 자동변속기 유압 시험은 오일의 점도가 측정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규정된 오일 온도(주로 워밍업된 작동 온도)에서 실시해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온도로 나누어 실시하는 것은 일반적인 유압 시험 절차가 아닙니다. 유압계 선택, 규정 오일 사용, 정확한 오일량 확인은 모두 올바른 주의사항입니다.
62. 전자제어기관에서 인젝터의 연료분사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보기:
산소(O₂) 센서
공기유량센서(AFS)
냉각수온센서(WTS)
핀 서모(fin thermo) 센서
정답: 4번
해설: 전자제어 엔진에서 인젝터의 연료 분사량은 엔진의 다양한 작동 조건에 따라 ECU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됩니다. 산소 센서(배기가스 중 산소 농도), 공기유량 센서(흡입 공기량), 냉각수온 센서(엔진 온도) 등은 연료 분사량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입력 센서들입니다. **'핀 서모(fin thermo) 센서'**는 일반적인 자동차 엔진 제어 시스템에서 연료 분사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센서가 아닙니다.
63. 디젤기관의 연소실 중 피스톤 헤드부의 요철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실은?
보기:
예연소실
공기실
와류실
직접분사실
정답: 4번
해설: 디젤 기관의 연소실은 크게 직접분사식과 간접분사식으로 나뉩니다. 직접분사식(Direct Injection) 연소실은 **피스톤 헤드부에 형성된 특수한 형태의 오목한 공간(연소실)**에 직접 연료가 분사되어 연소가 이루어집니다. 예연소실, 공기실, 와류실은 간접분사식 연소실의 한 형태입니다.
64. IC방식의 전압조정기가 내장된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보기:
스테이터 코일 여자전류에 의한 출력이 향상된다.
접점이 없기 때문에 조정 전압의 변동이 없다.
접점방식에 비해 내진성, 내구성이 크다.
접점 불꽃에 의한 노이즈가 없다.
정답: 1번
해설: IC(집적회로) 방식의 전압 조정기는 기존의 기계식 접점 방식에 비해 내구성과 신뢰성이 높고, 접점이 없어 불꽃에 의한 노이즈가 없으며, 정밀한 전압 조절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발전기(알터네이터)의 출력은 로터(회전자)의 여자 전류에 의해 스테이터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으로 생성됩니다. "스테이터 코일 여자전류에 의한 출력이 향상된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여자 전류는 로터에 공급됩니다.
65. 완전 충전된 납산축전지에서 양극판의 성분(물질)으로 옳은 것은?
보기:
과산화 납
납
해면상 납
산화물
정답: 1번
해설: 완전 충전된 납산 축전지(배터리)에서 양극판은 과산화 납(Lead Dioxide, PbO₂)으로, 음극판은 해면상 납(Spongy Lead, Pb)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66. 변속기 내부에 설치된 증속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보기:
기관의 회전속도를 일정수준 낮추어도 주행속도를 그대로 유지한다.
출력과 회전수의 증대로 윤활유 및 연료 소비량이 증가한다.
기관의 회전속도가 같으면 증속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속도가 더 빠르다.
기관의 수명이 길어지고 운전이 정숙하게 된다.
정답: 2번
해설: 증속장치(오버드라이브)는 엔진 회전수를 낮추면서도 차량의 주행 속도를 유지하거나 더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된 기어비입니다. 이는 고속 주행 시 엔진 RPM을 낮춰 연료 소비량을 감소시키고, 엔진의 마모를 줄여 수명을 연장하며, 소음을 줄여 운전을 더욱 정숙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출력과 회전수의 증대로 윤활유 및 연료 소비량이 증가한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67. 전동식 전자제어 조향장치 구성품으로 틀린 것은?
보기:
오일펌프
모터
컨트롤 유닛
조향각 센서
정답: 1번
해설: 전동식 전자제어 조향장치(EPS)는 유압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모터의 힘으로 조향을 보조합니다. 따라서 오일 펌프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구성품이며, 전동식 시스템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전동식 시스템은 모터, 컨트롤 유닛(ECU), 조향각 센서 등으로 구성됩니다.
68.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토크컨버터 내부의 오일 압력이 부족한 이유 중 틀린 것은?
보기:
오일펌프 누유
오일쿨러 막힘
입력측의 씰링 손상
킥다운 서브스위치 불량
정답: 4번
해설: 토크 컨버터 내부의 오일 압력 부족은 주로 유압 시스템의 문제로 발생합니다. 오일 펌프의 누유나 성능 저하, 오일 쿨러의 막힘으로 인한 유로 저항 증가, 입력측 씰링 손상 등은 모두 유압 부족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킥다운 서브스위치 불량은 변속 시점(특히 급가속 시 저단 변속)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토크 컨버터 내부의 유압 자체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69.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사용하는 센서에 속하지 않는 것은?
보기:
차속 센서
차고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냉각수 온도 센서
정답: 4번
해설: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차량의 동적 상태와 노면 조건을 감지하여 서스펜션 특성을 조절합니다. 이를 위해 차속 센서, 차고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등이 사용됩니다. 냉각수 온도 센서는 엔진 ECU에 주로 사용되어 연료 분사량 및 점화 시기를 제어하며, 현가장치에는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70. 스텝 모터 방식의 공전속도 제어장치에서 스텝 수가 규정에 맞지 않은 원인으로 틀린 것은?
보기:
공전속도 조정 불량
메인 듀티 S/V 고착
스로틀 밸브 오염
흡기다기관의 진공누설
정답: 2번
해설: 스텝 모터 방식의 공전 속도(아이들 스피드) 제어 장치는 스텝 모터가 바이패스 에어 통로를 조절하여 아이들 RPM을 제어합니다. 스텝 수가 규정에 맞지 않는다는 것은 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아이들 제어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공전 속도 조정 불량, 스로틀 밸브 오염(완전히 닫히지 않음), 흡기 다기관의 진공 누설(불필요한 공기 유입)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메인 듀티 S/V 고착은 스텝 모터 방식의 아이들 제어 시스템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거나 주된 원인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71. 배기가스가 삼원 촉매 컨버터를 통과할 때 산화·환원되는 물질로 옳은 것은?
보기:
N₂, CO
N₂, H₂
N₂, O₂
N₂, CO₂, H₂O
정답: 4번
해설: 삼원 촉매 컨버터는 자동차 배기가스 중의 유해 물질인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을 무해한 물질로 산화 및 환원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CO는 산화되어 이산화탄소(CO₂)로, HC는 산화되어 이산화탄소(CO₂)와 물(H₂O)로, NOx는 환원되어 질소(N₂)와 산소(O₂)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삼원 촉매 컨버터를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무해한 물질은 N₂, CO₂, H₂O입니다.
72. 공회전 속도조절 장치라 할 수 없는 것은?
보기:
전자 스로틀 시스템
아이들 스피드 액추에이터
스텝 모터
가변 흡기 제어 장치
정답: 4번
해설: 공회전(아이들) 속도 조절 장치는 엔진의 아이들 RPM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흡입 공기량을 조절하는 시스템입니다. 전자 스로틀 시스템, 아이들 스피드 액추에이터(ISA), 스텝 모터 등은 모두 아이들 속도 조절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장치 또는 부품입니다. 그러나 **가변 흡기 제어 장치(Variable Intake System)**는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흡기 매니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흡기 효율을 최적화하고 토크 및 출력을 향상시키는 장치로, 주된 목적이 공회전 속도 조절이 아닙니다.
73. 석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대체에너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보기:
알콜
전기
증유
수소
정답: 3번
해설: 대체에너지는 기존의 화석 연료(석유)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의미합니다. 알콜(에탄올 등), 전기(전기차), 수소(수소차) 등은 석유를 대체하는 에너지원으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증유(Distillate oil)**는 석유를 정제하여 얻어지는 기름(예: 등유, 경유 일부)으로, 석유 계열의 연료에 해당하므로 대체에너지라 할 수 없습니다.
74. 자동차 기관의 크랭크축 베어링에 대한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보기:
하중 부담 능력이 있을 것
매입성이 있을 것
내식성이 있을 것
내 피로성이 작을 것
정답: 4번
해설: 크랭크축 베어링은 엔진 내부에서 높은 부하와 반복적인 응력을 받으므로, 여러 가지 중요한 구비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여기에는 충분한 하중 부담 능력, 매입성(이물질을 흡수하는 능력), 내식성(부식에 견디는 능력)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반복적인 응력에 견디기 위해 높은 내피로성(fatigue resistance)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내 피로성이 작을 것"이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75. 자동차의 안전기준에서 제동등이 다른 등화와 겸용하는 경우 제동조작 시 그 광도가 몇 배 이상 증가하여야 하는가?
보기:
2배
3배
4배
5배
정답: 2번
해설: 자동차 안전 기준에 따르면, 제동등(브레이크 등)이 미등과 같이 다른 등화와 겸용으로 사용될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그 광도(밝기)가 3배 이상 증가하여 제동 신호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제동 상황을 확실히 인지시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76. 열선식 흡입공기 센서에서 흡입공기량이 많아질 경우 변화하는 물리량은?
보기:
열량
시간
전류
주파수
정답: 3번
해설: 열선식 흡입공기량 센서(Hot-wire Mass Air Flow Sensor)는 가열된 백금 열선이 흡입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냉각되는 정도를 이용합니다. 흡입 공기량이 많아지면 열선의 냉각이 더 심해지므로, 열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전류를 흘려주어야 합니다. 이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흡입 공기량을 파악합니다.
77. 승용차에서 전자제어식 가솔린 분사기관을 채택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
보기:
고속 회전수 향상
유해배출가스 저감
연료소비율 개선
신속한 응답성
정답: 1번
해설: 전자제어식 가솔린 분사기관(EFI)을 채택하는 주된 이유는 정밀한 연료 제어를 통해 유해 배출가스를 줄이고, 연료 소비율(연비)을 개선하며, 엔진의 반응성(응답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습니다. EFI는 엔진의 전반적인 성능과 효율을 높여주지만, '고속 회전수 향상' 자체가 EFI 채택의 직접적인 주된 이유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는 엔진 설계와 관련된 부분이지, 연료 분사 방식만의 목적은 아닙니다.
78. 산소 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기:
농후한 혼합기가 연소된 경우 센서 내부에서 외부 쪽으로 산소 이온이 이동한다.
산소 센서의 내부에는 배기가스와 같은 성분의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촉매 전, 후의 산소 센서는 서로 같은 기전력을 발생하는 것이 정상이다.
광역산소센서에서 히팅 코일 접지와 신호 접지 라인은 항상 0V이다.
정답: 4번
해설: 산소 센서는 배기가스 중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공연비를 피드백하는 중요한 센서입니다. 보편적인 전기 회로에서 접지(Ground) 라인은 전위가 0V를 유지하는 것이 정상입니다. 광역 산소 센서든 일반 산소 센서든, 센서의 히팅 코일과 신호 회로의 접지 라인은 기준 전압인 0V를 유지해야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합니다.
(참고: 농후 혼합기 연소 시에는 산소가 부족하여 센서 내부에서 외부로 산소 이온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대기 중 산소 농도와 내부 배기가스 산소 농도 차이로 전압이 발생합니다. 산소 센서 내부에는 외부 대기(참조 공기)가 유입되며, 촉매 전후 산소 센서는 촉매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다른 전압을 나타내는 것이 정상입니다.)
79. 유압식 동력조향장치에서 안전밸브(safety check valve)의 기능은?
보기:
조향 조작력을 가볍게 하기 위한 것이다.
코너링 포스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유압이 발생하지 않을 때 수동조작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조향 조작력을 무겁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3번
해설: 유압식 동력조향장치(파워 스티어링)에서 안전 밸브(Safety Valve) 또는 바이패스 밸브는 파워 스티어링 펌프 고장이나 엔진 정지 등으로 인해 유압 보조 기능이 상실되었을 경우, 유압 라인을 우회시켜 운전자가 수동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도록 통로를 확보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해설: 납산축전지의 격리판은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방지하면서도 전해액의 이온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Porous)이어야 합니다. 전해액의 확산이 차단되면 정상적인 화학 반응이 불가능합니다.²
3. 자동차의 기동전동기 탈부착 작업 시 안전에 대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³
보기:
배터리 단자에서 터미널을 분리시킨 후 작업한다.
차량아래에서 작업 시 보안경을 착용하고 작업한다.
기동전동기를 고정시킨 후 배터리 단자를 접속한다.
배터리 벤트플러그는 열려있는지 확인 후 작업한다.³
정답
4) 배터리 벤트플러그는 열려있는지 확인 후 작업한다.³
출처 입력
해설: 배터리 벤트플러그는 보통 닫혀 있어야 하며, 특히 시동 전동기 탈부착과 같은 일반적인 작업에서는 열어둘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열려 있으면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전해액이 누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배터리 단자 분리, 보안경 착용, 작업 순서 준수는 모두 중요한 안전 수칙입니다.³
4. 기동 전동기의 피니언과 링기어의 물림 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⁴
보기:
피니언 섭동식
벤딕스식
전기가 섭동식
유니버셜식⁴
정답
4) 유니버셜식⁴
출처 입력
해설: 기동 전동기의 피니언과 링기어 물림 방식에는 피니언 섭동식, 벤딕스식, 전기가 섭동식 등이 있습니다. 유니버셜식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⁴
5. 전자제어 가솔린 기관의 진공식 연료압력 조절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⁵
보기:
공전 시 진공호스를 빼면 연료압력은 낮아지고 다시 호스를 꼽으면 낮아진다.
급가속 순간 흡기다기관의 진공은 대기압에 가까워 연료압력은 낮아진다.
흡기관의 절대압력과 연료 분배관의 압력차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⁵
대기압이 변하면 흡기관의 절대압력과 연료 분배관의 압력차도 같이 변화한다.
정답
3) 흡기관의 절대압력과 연료 분배관의 압력차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⁵
출처 입력
해설: 진공식 연료압력 조절기는 흡기 매니폴드 압력(진공)에 따라 연료 압력을 조절하여 인젝터 앞뒤의 압력차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연료 분사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⁵
6. 커넥팅 로드의 비틀림이 엔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⁶
보기:
압축압력의 저하
회전에 무리를 초래
저어널 베어링의 마멸
타이밍 기어의 백래시 촉진⁶
정답
4) 타이밍 기어의 백래시 촉진⁶
출처 입력
해설: 커넥팅 로드의 비틀림은 주로 피스톤의 움직임과 회전축에 영향을 미쳐 압축 압력 저하, 회전 부하 증가, 저널 베어링 마모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타이밍 기어의 백래시 촉진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습니다.⁶
7. 자동변속기에서 밸브보디에 있는 매뉴얼밸브의 역할은?⁷
보기: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유로를 변경한다.⁷
오일압력을 부하에 알맞은 압력으로 조정한다.
차속이나 엔진부하에 따라 변속단수를 결정한다.
변속단수의 위치를 컴퓨터로 전달한다.
정답
1)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유로를 변경한다.⁷
출처 입력
해설: 자동변속기의 매뉴얼 밸브는 운전자가 선택한 변속 레버(P, R, N, D 등)의 위치에 따라 유압회로의 오일 흐름을 물리적으로 전환하여 적절한 유압이 각 부분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⁷
8. 요철이 있는 노면을 주행할 경우,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는 충격을 무엇이라 하는가?⁸
보기:
시미 현상
웨이브 현상
스카이 훅 현상
킥백 현상⁸
정답
4) 킥백 현상⁸
출처 입력
해설: 킥백 현상은 노면의 요철 등으로 인해 바퀴에 가해진 충격이 스티어링 시스템을 통해 스티어링 휠로 역으로 전달되어 운전자가 느끼는 진동이나 충격을 의미합니다.⁸
9. 공기 현가장치의 특징에 속하지 않는 것은?⁹
보기:
하중 증감에 관계없이 차체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며 앞뒤, 좌우의 기울기를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 정수가 자동으로 조정되므로 하중의 증감에 관계없이 고유 진동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고유 진동수를 높일 수 있으므로 스프링 효과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⁹
공기 스프링 자체에 감쇠성이 있으므로 작은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
3) 고유 진동수를 높일 수 있으므로 스프링 효과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⁹
출처 입력
해설: 공기 현가장치는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유 진동수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목표이며, 스프링 효과를 유연하게 한다는 것은 진동수를 높이는 것과는 상반되는 개념입니다. 공기 현가장치는 하중 변화에 따른 차고 유지, 고유 진동수 일정 유지, 작은 진동 흡수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⁹
10. 기동전동기에서 회전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¹⁰
보기:
오버러닝 클러치
정류자
계자코일¹⁰
전기가 철심
정답
3) 계자코일¹⁰
출처 입력
해설: 기동 전동기에서 오버러닝 클러치, 정류자, 전기가 철심은 회전하는 부분(회전자)에 해당합니다. 반면 계자코일은 고정된 부분(고정자)에 위치하여 자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¹⁰
11. 귀마개를 착용하여야 하는 작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¹¹
보기:
공기압축기가 가동되는 기계실 내에서 작업
디젤엔진 정비작업¹¹
단조작업
제관작업
정답
2) 디젤엔진 정비작업¹¹
출처 입력
해설: 공기압축기 가동, 단조 작업, 제관 작업 등은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이므로 귀마개 착용이 필수적입니다. 디젤 엔진 정비 작업도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나, 다른 보기의 작업들에 비해 귀마개가 필수로 요구되는 수준의 소음은 아닌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거리가 멉니다.¹¹
12. 자동차의 종합경보장치에 포함되지 않는 제어 기능은?¹²
보기:
도어록 제어 기능
감광식 룸램프 제어 기능
엔진 고장 지시 제어 기능¹²
도어 열림 경고 제어 기능
정답
3) 엔진 고장 지시 제어 기능¹²
출처 입력
해설: 자동차의 종합 경보 장치는 주로 차량의 보안, 도어 상태, 실내 조명 등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합니다. 엔진 고장 지시 제어 기능은 주로 엔진 제어 장치(ECU)의 역할이며, 종합 경보 장치의 직접적인 기능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¹²
13. 자동차 전조등 주광축의 진폭 측정시 10m 위치에서 우측 우향 진폭 기준은 몇 cm 이내이어야 하는가?¹³
보기:
10
20
30
39
정답
3) 30
출처 입력
해설: 자동차 전조등의 주광축 진폭 측정 시, 10m 거리에서 우측으로 30cm 이내의 편차가 기준입니다.
14. 단순 유성기어 장치에서 선기어, 캐리어, 링기어의 3요소 중 2요소를 입력요소로 하면 동력전달은?¹⁴
보기:
증속
감속
직결
역전
정답
3) 직결¹⁴
출처 입력
해설: 단순 유성기어 장치에서 3가지 요소(선기어, 캐리어, 링기어) 중 두 가지를 함께 구동하거나 고정시키면, 나머지 하나의 요소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어 동력이 1:1로 전달되는 직결(Direct Drive) 상태가 됩니다.
15. AQS(Air Quality System)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¹⁵
보기:
차실 내 유해가스의 유입을 차단한다.
차실 내로 청정 공기만을 유입시킨다.
승차 공간 내의 공기청정도와 환기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시킨다.
차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¹⁵
정답
4) 차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¹⁵
출처 입력
해설: AQS(Air Quality System)는 차량 내부의 공기 질을 감지하여 유해가스 유입을 차단하고, 깨끗한 공기를 유입시켜 쾌적한 실내 공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주된 기능입니다. 차실 내 온도와 습도 조절은 에어컨(공조장치)의 역할입니다.¹⁵
16. 기동전동기를 주요 부분으로 구분한 것이 아닌 것은?¹⁶
보기:
회전력을 발생하는 부분
무부하 전력을 측정하는 부분¹⁶
회전력을 기관에 전달하는 부분
피니언을 링기어에 물리게 하는 부분
정답
2) 무부하 전력을 측정하는 부분¹⁶
출처 입력
해설: 기동 전동기는 크게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모터), 그 힘을 엔진에 전달하는 부분(피니언 기어, 오버러닝 클러치), 그리고 피니언을 링기어에 물리고 빼는 부분(솔레노이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됩니다. '무부하 전력을 측정하는 부분'은 특정 기능 테스트를 의미할 뿐, 시동 전동기 자체의 주요 구성 부분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¹⁶
17. 이동식 및 휴대용 전동기의 안전한 작업 방법으로 틀린 것은?¹⁷
보기:
전동기의 코드선은 접지선이 설치된 것을 사용한다.
회로시험기로 절연상태를 점검한다.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접속하고 동작 상태를 점검한다.
감전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서는 1종 절연 구조의 전기기기를 사용한다.¹⁷
정답
4) 감전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서는 1종 절연 구조의 전기기기를 사용한다.¹⁷
출처 입력
해설: 감전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서는 1종 절연(접지 기반)보다 더 안전한 2종 절연(이중 절연) 또는 3종 절연(저전압 사용) 구조의 전기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1종 절연은 접지가 손상될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안전 작업 방법입니다.¹⁷
18. 연삭 작업시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¹⁸
보기:
나무 해머로 연삭숫돌을 가볍게 두들겨 맑은 음이 나면 정상이다.
연삭숫돌의 표면이 심하게 변형된 것은 반드시 수정한다.
받침대는 숫돌의 중심선보다 낮게 한다.¹⁸
연삭숫돌과 받침대와의 간격은 3mm 이내로 유지한다.
정답
3) 받침대는 숫돌의 중심선보다 낮게 한다.¹⁸
출처 입력
해설: 연삭 작업 시 받침대(Tool Rest)는 숫돌의 중심선과 같거나 약간 높은 위치에 설정해야 합니다. 숫돌 중심선보다 낮게 설정하면 공작물이 숫돌에 끼이거나 튀어 오르는 위험이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¹⁸
19. 에어백 장치를 점검, 정비할 때 안전하지 못한 행동은?¹⁹
보기:
조향 휠을 탈거할 때 에어백 모듈 인플레이터 단자는 반드시 분리한다.¹⁹
조향 휠을 장착할 때 클럭 스프링의 중립 위치를 확인한다.
에어백 장치는 축전지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시간 지난 후 정비한다.
인플레이터의 저항은 절대 측정하지 않는다.
정답
1) 조향 휠을 탈거할 때 에어백 모듈 인플레이터 단자는 반드시 분리한다.¹⁹
출처 입력
해설: 이 문제는 제시된 보기가 질문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은 "안전하지 못한 행동은?" 이지만, 정답으로 표시된 1번 보기는 "조향 휠을 탈거할 때 에어백 모듈 인플레이터 단자는 반드시 분리한다." 이며, 이는 에어백 정비 시 매우 중요한 안전 수칙에 해당합니다. 즉, 1번은 안전한 행동이지, 안전하지 못한 행동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2, 3, 4번) 역시 모두 에어백 정비 시의 올바른 안전 수칙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 표시에 오류가 있거나 질문의 의도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¹⁹
20. 밸브 스프링 자유 높이의 감소는 표준 치수에 대하여 몇 % 이내이어야 하는가?
보기:
3%
8%
10%
12%
정답
1) 3%
출처 입력
해설: 밸브 스프링의 자유 높이 감소는 표준 치수의 3% 이내여야 합니다. 이 기준을 초과하면 밸브 스프링의 장력이 약해져 밸브 트레인 시스템의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1. 전동식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에서 토크센서의 역할은?
보기:
차속에 따라 최적의 조향력을 실현하기 위한 기준 신호로 사용된다.
조향 휠을 돌릴 때 조향력을 연산할 수 있도록 기본 신호를 컨트롤 유닛에 보낸다.²²
모터 작동 시 발생되는 부하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신호로 사용된다.
모터 내의 로터 위치를 검출하여 모터 출력의 위상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답
2) 조향 휠을 돌릴 때 조향력을 연산할 수 있도록 기본 신호를 컨트롤 유닛에 보낸다.²²
출처 입력
해설: 전동식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EPS)에서 토크 센서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때 발생하는 조향 토크(힘)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이 신호를 제어 유닛(ECU)에 전달합니다. ECU는 이 신호를 기반으로 모터의 보조력을 계산하고 제어하여 운전자가 적절한 조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²²
22. 후퇴등은 등화의 중심점이 공차 상태에서 어느 범위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²³
보기:
지상 15cm 이상 ~ 100cm 이하
지상 20cm 이상 ~ 110cm 이하
지상 15cm 이상 ~ 95cm 이하
지상 25cm 이상 ~ 120cm 이하²³
정답
4) 지상 25cm 이상 ~ 120cm 이하²³
출처 입력
해설: 후퇴등(후방등)은 차량이 후진할 때 후방 시야를 확보하고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후진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그 설치 높이는 공차 상태에서 지상 25cm 이상 120cm 이내여야 합니다.²³
23. 공기 브레이크 장치에서 앞바퀴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순서는?²⁴
보기:
공기탱크 - 휠 릴리스밸브 - 브레이크밸브 - 브레이크 챔버
공기탱크 - 브레이크 챔버 - 브레이크 밸브 - 브레이크 슈
공기탱크 - 브레이크 밸브 - 퀵 릴리스밸브 - 브레이크 챔버²⁴
브레이크밸브 - 공기탱크 - 퀵 릴리스밸브 - 브레이크 챔버
정답
3) 공기탱크 - 브레이크 밸브 - 퀵 릴리스밸브 - 브레이크 챔버²⁴
출처 입력
해설: 공기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압축 공기는 공기탱크에서 시작하여 브레이크 밸브(페달 조작 시 열림)를 거쳐 각 브레이크 챔버로 전달됩니다. 이때, 특히 앞바퀴에는 공기 배출을 빠르게 하여 브레이크 해제를 신속하게 하는 퀵 릴리스 밸브(Quick Release Valve)를 거쳐 브레이크 챔버로 유입됩니다.²⁴
24.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 장치에 사용되는 연료 압력조절기에서 인젝터의 연료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것과 직접 관계되는 것은?²⁵
보기:
엔진의 회전속도
흡기다기관 진공도²⁵
배기가스 중의 산소농도
실린더내의 압축압력
정답
2) 흡기다기관 진공도²⁵
출처 입력
해설: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 장치의 연료 압력 조절기는 흡기 매니폴드의 진공(압력) 변화에 맞춰 연료 압력을 조절하여, 인젝터에 공급되는 연료 압력이 항상 매니폴드 압력과의 상대적인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합니다. 이는 인젝터가 항상 일정한 압력차에서 연료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연료량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²⁵
25. LP가스를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차량전복으로 인하여 파이프가 손상 시 용기 내 LP가스 연료를 차단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은?²⁶
보기:
영구자석
과류방지 밸브²⁶
체크 밸브
감압 밸브
정답
2) 과류방지 밸브²⁶
출처 입력
해설: LP가스 차량에서 파이프 손상 등으로 인해 가스 누출이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과류 방지 밸브(Excess Flow Prevention Valve)가 작동하여 용기 내 LP가스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큰 사고를 예방합니다.²⁶
26. 유압제어 장치와 관계없는 것은?²⁷
보기:
오일펌프
유압조정밸브바디
어큐뮬레이터
유성장치²⁷
정답
4) 유성장치²⁷
출처 입력
해설: 오일 펌프, 유압 조정 밸브 바디, 어큐뮬레이터는 모두 유압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로, 유체를 이용한 동력 전달 및 제어에 관여합니다. 반면 유성장치(Planetary Gear Set)는 기계적인 기어 조합으로, 유압 시스템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²⁷
27. 4륜 조향장치(4WS)의 적용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²⁸
보기:
저속에서 선회할 때 최소 회전 반경이 증가한다.²⁸
차로 변경이 쉽다.
주차 및 일렬주차가 편리하다.
고속 직진 성능이 향상된다.
정답
1) 저속에서 선회할 때 최소 회전 반경이 증가한다.²⁸
출처 입력
해설: 4륜 조향장치(4WS)는 저속에서 뒷바퀴를 앞바퀴와 반대 방향으로 조향하여 최소 회전 반경을 줄여 선회 성능을 향상시키고 주차를 용이하게 합니다. 고속에서는 뒷바퀴를 앞바퀴와 같은 방향으로 조향하여 차선 변경 용이성 및 직진 안정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최소 회전 반경이 증가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²⁸
28. 현가장치에서 스프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²⁹
보기:
스프링은 훅의 법칙에 따라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량은 비례한다.
스프링의 상수는 스프링의 세기를 표현한다.
스프링상수를 일정하게하고 하중을 증가시키면 진동수는 증가한다.²⁹
스프링의 진동수는 스프링 상수(k)에 비례하고 하중(m)에 반비례한다.
정답
3) 스프링상수를 일정하게하고 하중을 증가시키면 진동수는 증가한다.²⁹
출처 입력
해설: 스프링-질량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f)는 f ∝ √(k/m) 공식으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k는 스프링 상수, m은 질량(하중)입니다. 스프링 상수가 일정할 때 하중(m)이 증가하면, 분모가 커지므로 고유 진동수는 감소합니다. 따라서 '진동수는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²⁹
29.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에서 ECU 신호계통, 유압계통 이상 발생 시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공급 릴레이 "OFF"함과 동시에 제어 출력신호를 정지하는 기능은?³⁰
보기:
연산 기능
최초점검 기능
페일 세이프 기능³⁰
입출력 신호 기능
정답
3) 페일 세이프 기능³⁰
출처 입력
해설: 페일 세이프(Fail-Safe) 기능은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위험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이 안전한 상태로 작동하거나 멈추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ABS 시스템의 경우, 고장 발생 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을 차단하고 제어 신호를 정지시켜 기본적인 브레이크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면서, 운전자에게 경고를 줍니다.
끝까지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문제들을 모두 확인한 여러분의 열정이라면 합격은 문제없을 겁니다! 우리가 지금 쏟는 1분 1초의 노력이 합격의 순간을 만드는 결정적인 한 걸음이 될 거예요. 저 빅초이도 여러분과 함께 끝까지 달리겠습니다. 다음엔 더 유익한 자료로 찾아뵐게요. 모두 파이팅!
심지어 총을 쏘다가 일어날 수 있는 사고에 대해 염려하는 등의 행동에 많은 시간을 쏟는다고 지적해요.
(책에서 나온 예시는 아닙니다만)
사실 어떻게 보면 집에 가만히 앉아서 영상을 찾아보고,
인터넷에 정보를 검색해보는 행위는
사격장에 가서 총을 직접 쏘는 것과 비교했을 때는 매우 편한 일이라고 볼 수도 있을 거 같아요.
어찌 보면 어떤 것을 잘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일인 거죠.
그것이 의미가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우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해야 할 행동을 하기 위해선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 거 같아요.
저는 예전에 게임 개발을 했었어요. 단순한 흥미와 호기심 때문에 시작한 일이었지만
결국 마음속 깊은 곳에는 '게임 개발로 성공하고 싶다'라는 욕구가 있었던 거 같아요.
근데 저는 유튜브에서 골드메탈님 영상을 보며, 따라 만들면서 매일매일 시간을 보냈습니다.
게임을 만들어 배포를 하고, 피드백도 받으면서 게임을 만들어봐야 되는데,
공부하면 할수록 부족함이 느껴지고, 그러다 보니 문법을 공부하고
최신 기술을 학습하는 등 목적 달성과는 거리가 먼 행동만 하고 있더라고요.
게임개발로 돈을 벌고 싶으면서
영상 보면서 따라 만드는 게 쉽고 재밌으니까 불편함을 감수하려고 하지 않았던 거죠.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뭔가를 해나가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게
내가 왜 그 행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목적을 깨닫는 것과,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라면 기꺼이 불편한 상황 속에
나를 던져 넣는 과감함도 가져야 된다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첫날부터 말하기를 한다는 아이디어는 학습에 대한 내 생각을 바꿔놓았다. 코딩도 첫날부터 만들 수 있고, 가르치기도 첫날부터 할 수 있고, 코치도 첫날부터 할 수 있다고 말이다. 기량을 연습하기에 앞서 편안함을 느끼지 않아도 된다. 기량을 연습하면 점점 편안해진다.
기분은 날씨 같은 것이라고. 어떤 날은 아침에 눈이 번쩍 떠지는 게 힘이 펄펄 나는가 하면 또 어떤 날은 몸이 진흙으로 만들어진 것 같은 때가 있습니다.
몸이 힘들면 마음이 가라앉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그 것 때문에 불행하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날씨 같은 거라고 여기면 되는 거예요. 바람 불다, 비가 오다 그러다 햇살이 비추기도 하는 거거든요. 또 그러다 흐리기도 하고.
책 도입부를 읽으면서 김창완 님 특유의 말투가 머릿속에서 울리는 거 같았다. 말을 어쩜 이렇게 예쁘게 할까? 담백하다는 표현이 맞는 건가. 어쨌든. 뭘 보고 자라야 이런 글을 쓸 수 있을까 잠시 생각했다. 많이 써봐야겠지 뭐.
열심히 괴로워 하는 사람들을 위로해 주는 책
학창 시절을 너무 허투루 보냈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20대 후반부터는 꽤 열심히 살았던 거 같다. 시간은 한정된 자원이라는 미국 월스트리트 어딘가 사는지 마는지 하는 사람들의 조언에, 시간을 빼곡하게 채워서 살았다.
미라클 모닝, 아침 명상, 아침 운동, 출근길 스픽으로 영어회화 공부, 점심시간에는 프로그래밍 공부, 집에 와서는 독서, 아이들 재우고 게임 개발... 딱히 싫지는 않았던 거 같다. 스스로 열심히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만족감도 있었고, 뭔가 성장하고 있다는 즐거움도 있었으니까.
문제는 강박이었다. 빼곡한 투두리스트 중 뭐 하나라도 빠트려놓은 날은 시작부터 어그러지기 시작했다. 사람 사는 게 계획대로 될 수 없는 건데, 내 계획이 틀어지면 그것이 짜증 났다. 당연히 겉으로 드러났고, 부정적인 감정은 쉽게 사람들을 괴롭혔겠지. 아내나 아이들, 내가 만나는 사람들을 꽤 힘들게 했던 거 같다.
다행히도 이런 강박적인 태도가 문제라는 것은 빨리 알아차렸다. 그래서 최근 몇 개월 동안은 조급해하지 않고, 마음에 여유를 갖자는 태도로 하루하루를 보내왔던 거 같다. 그러던 와중에 만난 찌그러져도 동그라미라는 책은 꼭 나를 위로해 주는 거 같았다.
세상살이라는 게 그렇게 자로 잰 듯 떨어지지 않습니다. 좀 여유롭게 생각하세요.
너무 매일매일에 집착하지 마십시오. 그렇다고 위에 그린 동그라미를 네모라고 하겠습니까, 세모라고 하겠습니까?
전기 현장 조공으로 일하게 되면서 어리바리를 타고 있다. 나름 사장으로 일하면서 남 눈치 안 보면서 10년을 일했는데, 다시 눈칫밥 먹으면서 일하는게 쉽지는 않다.
평생 공구 한 번 만져본 적 없거나, 나처럼 40을 바라보는 나이에 노가다판에 입문하는 사람들을 위해 오늘은 전기 조공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몇 가지 공구들을 정리해볼까한다.
후렉시블 (Flexible)
후레시맨? 첨에 후렉시볼 가져와! 라고 선임 기공의 고성을 들었을 때가 떠오른다. 뭘 가르쳐 주고 화를 내든가... 한글 명칭으로는 금속제 가요 전선관이라고도 한다. 영어를 좀 하시는 분들은 Flexible이라는 말을 알거다. 유연한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다. 말그대로 이 관은 유연하게 이리저리 스르르 뱀처럼 움직인다. 조공으로 일한지 얼마 안되서 다른건 안써봤고, 내가 있는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GW 전선관이 사용된다.
혹시 궁금한 사람이 있을까봐 약자를 알려주자면 General Water Proof Flexible. 표준형 일반 방수 전선관이라는 뜻이다. 내열, 내유, 내한, 내화학성에 우수하다고 한다.
jeongikkang.com
임팩 (임팩트 드릴)
이케아 가구를 조립할 정도의 관심이라면 전동 드라이버는 사용해봤을거다. 임팩트 드릴은 전동 드라이버처럼 생겼지만 말그대로 충격을 주면서 움직이는 도구다. 고속 회전을 하며, '충격력'을 발생시켜 강력한 힘으로 나사를 조여주기도 하고, 단단한 재료를 뚫을 때 사용한다.
나는 주로 트레이를 설치하거나, 분전함에 직결 피스를 박을 때 사용하고 있다.
앙카 (앙카볼트)
3부 앙카 볼트
보통 앙카라고 부른다. Anchor가 배를 고정하는 닻을 의미하는 말인 거처럼, 콘크리트를 뚫은 뒤에 분전함이나 볼라드처럼 단단히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도구다.
볼트 아래 부분이 팽창하면서 단단하게 고정된다고 한다. 아래 움짤을 확인해보자.
유튜브 : 앵커볼트전문채
아시바 (비계)
높은 곳에서 공사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이다. 일본에서 넘어온 말이고, 보통 시스템 비계라고 부른다고 한다. 나같은 경우에는 현장에서 이동식 바퀴를 달아서 사용하는 '이동식 비계'를 가끔 사용한다.
건설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파이프 건축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나무위키
뺀찌 (펜치)
정식명칭은 펜치인데, 뺀찌라고 많이들 부르시더라. 손가락으로 세게 잡을 수 없는 물건들을 집을 때 사용된다. 노가다 필수템이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정리해본다. 12시간을 넘게 서서 일했더니 너무 졸렵다. 또 생각나면 온다. 수고
피상전력 (Apparent Power)이란 교류 전력 시스템에서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나는 전체 전력을 의미한다고 한다. 피상전력은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전력 시스템의 전력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1. 유효전력 (Real Power, P):
실제로 유용한 일을 하는 전력. 즉, 실제로 소비되거나 생성되는 전력
단위는 와트(W).
전기 기기들이 실제로 소비하는 전력으로, 열, 빛, 운동 에너지 등으로 변환된다.
2. 무효전력 (Reactive Power, Q):
전력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기장이나 전기장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이며, 실제로 일을 수행하지 않지만 시스템의 전압과 전류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단위는 Var(Volt-Ampere Reactive).
피상전력을 구하는 공식
피상전력(S)은 전압과 전류의 복소수의 곱으로 구한다. 혹시 나처럼 복소수를 접한 지 오래되어 헷갈리는 사람들을 위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면,
전압 v = 5 +j2 처럼 실수부(5)와 허수부(j2)로 이루어진 수이다. 그렇다면 켤레 복소수란 무엇일까? 전류 i는 4 - j2로 허수부 앞에 음수 -가 붙어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허수부의 부호를 반대로 바꾼 복소수를 켤레 복소수라고 한다.
피상전력을 다음과 같이 표기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S는 피상전력 (단위: VA, Volt-Ampere)
P는 유효전력 (단위: W, Watt)
Q는 무효전력 (단위: Var, Volt-Ampere Reactive)
계산해 보기
복소수의 곱은 분배법칙으로 계산하면 된다. 그런데 두 번째 줄에 보면 j2와 j2가 곱해진 값이 아래줄에서 -4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복소수에서 허수의 제곱은 -1이 성립된다. 이유까지 파고들면 너무 복잡하니 외우는 것이 좋을 거 같다. 궁금한 분은 검색해서 알아보시길...
어찌 됐든 피상전력 S = 16 + j18 [VA]에서 16이 유효전력, j18 부분이 무효전력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무효전력 Var은 18이다.
PN 접합 다이오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만든 소자로, 특정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함. 이를 통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음.
SCR (실리콘 제어 정류기): 플러스와 마이너스 전압을 걸고 게이트에 신호를 주면 도통되는 소자. 도통된 이후에는 신호를 끊어도 계속 도통 상태를 유지하며, 반대로 전압을 걸거나 유지 전류 이하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꺼짐.SCR 심- 위키백과
GTO (게이트 턴 오프): SCR과 유사하지만, 게이트 신호로 켜고 끌 수 있는 소자.GTO 심벌 - 위키백과
트라이액(TRIAC): 양방향으로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소자. 교류를 제어할 수 있음.TRIAC 심벌 - 위키백과
제너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는 특정 역방향 전압(항복 전압)을 초과할 때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항복 특성이라고 한다. 제너다이오드 심벌 - 위키백과
예시
CPU가 5V에서 작동한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전압이 5V를 초과하면 CPU가 고장 날 수 있다. 이때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면, 전압이 6V를 초과할 때 전류가 흐르게 되어 과도한 전압을 막을 수 있다. 전압이 항복 전압을 초과하면 전류를 통과시켜 후미단의 중요한 소자를 보호한고,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항복 특성
항복 전압: 특정 역방향 전압을 초과할 때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압.
역방향 전압: 전압이 반대 방향으로 걸렸을 때, 제너 다이오드는 항복 전압 이상이 되면 전류를 통과시킴.
연습 문제 및 답변
PN 접합 다이오드의 주 기능은 무엇인가?
PN 접합 다이오드는 특정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하는 정류 작용을 한다. 이를 통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SCR이 도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 전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SCR이 도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 전류를 유지 전류(holding current)라고 한다.
GTO와 SCR의 차이점을 설명하라.
SCR은 게이트에 신호를 주어 켤 수 있지만, 꺼질 때는 전류가 유지 전류 이하로 떨어지거나 역전압이 걸려야 한다. 반면 GTO는 게이트 신호로 켜고 끌 수 있어 더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트라이액이 양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트라이액은 양쪽에 화살표가 있는 구조로, 양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교류를 제어할 수 있다.
제너 다이오드는 어떤 상황에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가?
제너 다이오드는 역방향 전압이 항복 전압을 초과할 때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